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31

[백준 2096번] 내려가기 📖문제:  📙풀이:한 라인에는 숫자가 3개로 일정하므로, 3*2 이차원 리스트를 이용하여,반복문을 한 번만 사용하여 최소값과 최대값을 계속 갱신하는 방법을 이용함. ✏️코드:'''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2096문제: 내려가기난이도: 골드5'''import sysline = int(sys.stdin.readline())first, second, third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().split())last = [[first, first], [second, second], [third, third]] # 젤 위에 값들을 먼저 세팅for _ in range(line-1): a, b, c = map(int, sys.stdin.readline.. 2024. 10. 13.
[정보보호론] Lecture4. Authorization ※ 이 카테고리의 글들은 knu JY.Lee 교수님의 수업을 듣고 나름대로 필자가 정리한 글입니다.※ 부족한 설명이 있거나, 잘못 알고 작성한 부분이 보인다면 편하게 댓글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😊 Recap _ 3장 내용을 복습해 봅시다!인증 authentication: 인증은 사용자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과정으로, 다양한 방식이 존재합니다. 비밀번호 기반 인증: 비밀번호는 여전히 가장 널리 사용되는 인증 수단 중 하나입니다.해시와 솔트 사용: 비밀번호를 단순히 저장하는 대신, 해시 함수(hash function)를 이용해 암호화하고, 추가적으로 솔트(salt)를 사용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 권장됩니다. 솔트는 각 비밀번호에 고유한 무작위 값을 추가해 동일한 비밀번호가 같은 해시 값을 가지지.. 2024. 10. 8.
[정보보호론] Lecture3. Authentication(2) ※ 이 카테고리의 글들은 knu JY.Lee 교수님의 수업을 듣고 나름대로 필자가 정리한 글입니다.※ 부족한 설명이 있거나, 잘못 알고 작성한 부분이 보인다면 편하게 댓글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😊 2-2. Security Considerations저번 글에 이어서 패스워드 기반 인증 방식에 대해 더 알아보겠습니다.Security Considerations (보안 고려사항)패스워드의 통신 방식(How is the password communicated?):패스워드가 통신되는 방식은 매우 중요합니다. 만약 통신 중에 패스워드가 도청당할 위험이 있다면 큰 보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암호화 기술을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.패스워드의 저장 방식(How is the password.. 2024. 10. 6.
[정보보호론] Lecture3. Authentication(1) ※ 이 카테고리의 글들은 knu JY.Lee 교수님의 수업을 듣고 나름대로 필자가 정리한 글입니다.※ 부족한 설명이 있거나, 잘못 알고 작성한 부분이 보인다면 편하게 댓글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😊 1. Types of AuthenticationAuthentication(인증) vs. Authorization(권한 부여):인증(Authentication): 사용자가 자신이 누구라고 주장하는 사람인지를 확인하는 과정입니다. 즉, "당신이 누구라고 주장하는 사람이 맞습니까?"라는 질문에 답하는 과정입니다.권한 부여(Authorization): 사용자가 자원에 접근할 권한이 있는지를 결정하는 과정입니다. 즉, "당신이 요청한 작업을 수행할 권한이 있습니까?"라는 질문에 답하는 단계입니다.인증과 권한.. 2024. 10. 6.
[정보보호론] Lecture2. Concepts in Security ※ 이 카테고리의 글들은 knu JY.Lee 교수님의 수업을 듣고 나름대로 필자가 정리한 글입니다.※ 부족한 설명이 있거나, 잘못 알고 작성한 부분이 보인다면 편하게 댓글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😊 1. Definition of Computer Security컴퓨터 보안의 정의:Ross Anderson의 정의에 따르면, 컴퓨터 보안은 "악의(malice), 오류(error) 또는 사고(mischance)에 직면해도 시스템이 신뢰성을 유지하도록 만드는 것"입니다.즉, 시스템이 예상치 못한 위협이나 문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. 컴퓨터 보안의 목표:컴퓨터와 장치들이 오용 또는 무단 액세스로부터 보호되는 것.정보 시스템이 오용 및 간섭으로부터 보호되는 것.컴퓨터 시스템과 .. 2024. 10. 6.
[자료구조] Chapter3. STACKS AND QUEUES(1) ※ 이 카테고리의 글들은 knu EK.Ryu 교수님의 수업을 듣고 나름대로 필자가 정리한 글입니다.※ 부족한 설명이 있거나, 잘못 알고 작성한 부분이 보인다면 편하게 댓글로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😊3.1 Stack스택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삭제하는데 LIFO(Last In, First Out) 방식으로 작동하는 자료구조입니다. 즉,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구조입니다.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, A, B, C, D, E 순서로 데이터를 넣고, 삭제할 때는 E부터 제거됩니다. 스택에 데이터를 넣고(push), 빼는(pop) 함수에 대해서 아래에서 알아보겠습니다.void push(element item) // 데이터 추가{ if (top >= MAX_STACK_SIZE - 1.. 2024. 10. 5.